아이폰 RAW 파일 문의 드립니다
작가명 | CCM |
---|
안녕하세요. 선생님이 작성하신
https://www.sotheb.co.kr/Support/9250
이 글을 보고 궁금한 부분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저는 애플 프로라우 지원하던 아이폰 12프로 맥스를 사용하면서 부터 드로잉과 작업 촬영을 아이폰 RAW로 하고 있습니다.
출장 촬영으로 촬영한 이미지와 비교해서 제가 RAW로 찍은 사진이 더 좋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지금도 같은 생각 입니다.
미러리스 카메라도 사용하고 있지만 미러리스는 조명에서 찍어도 밝기가 고르지 못하고 아이폰은 같은 조명에서 찍어도 밝기가 고르게 들어갑니다.
RAW 현상을 포토샵 카메라로우로 하고 있고 품질은 아이폰이 더 좋습니다.
제가 본 유튜브나 블로그에서도 휴대폰 RAW 촬영은 이미 미러리스 RAW 촬영과 뒤지지 않는다고 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우연히 선생님 글을 보고 의문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아이폰, 통틀어서 휴대폰으로 지칭 하겠습니다.
휴대폰 RAW 촬영은 센서에서 읽은 데이터를 기본적인 디모자이킹이나 컬러 매핑 없는 RAW로 저장하는 것에서는 DSLR이나 미러리스와 비슷해 보이지만, 휴대폰은 작은 센서와 렌즈로인해 몇 배 더 적은 빛 데이터를 ISP;이미지 처리 센서가 개입해 RAW 데이터화 이전에 노이즈 처리, 왜곡보정, 합성 등의 하드웨어 보정과 소프트웨어 보정이 선행 됩니다.
RAW 원본 데이터를 최대한 가공 없이 저장한다는 의도는 비슷 하지만 DSLR이나 미러리스의 RAW 촬영 처리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같은 화소라 하더라도 물리적인 센서와 렌즈 차이로 인해 이미지 처리 파이프라인은 다릅니다. 휴대폰 RAW는 이미 멀리프레임 합성 과정을 거친 파일 입니다.
당연히 품질도 같지 않습니다.
데이터 아카이브 기준에서, 휴대폰으로 촬영한 작품 이미지는 아카이브 데이터로 볼 수 없습니다.
휴대폰 RAW 촬영은 센서에서 읽은 데이터를 기본적인 디모자이킹이나 컬러 매핑 없는 RAW로 저장하는 것에서는 DSLR이나 미러리스와 비슷해 보이지만, 휴대폰은 작은 센서와 렌즈로인해 몇 배 더 적은 빛 데이터를 ISP;이미지 처리 센서가 개입해 RAW 데이터화 이전에 노이즈 처리, 왜곡보정, 합성 등의 하드웨어 보정과 소프트웨어 보정이 선행 됩니다.
RAW 원본 데이터를 최대한 가공 없이 저장한다는 의도는 비슷 하지만 DSLR이나 미러리스의 RAW 촬영 처리와 동일하지 않습니다.
같은 화소라 하더라도 물리적인 센서와 렌즈 차이로 인해 이미지 처리 파이프라인은 다릅니다. 휴대폰 RAW는 이미 멀리프레임 합성 과정을 거친 파일 입니다.
당연히 품질도 같지 않습니다.
데이터 아카이브 기준에서, 휴대폰으로 촬영한 작품 이미지는 아카이브 데이터로 볼 수 없습니다.
25.09.25. 09:23
ccm
sotheb
사진 이미지 다루면서 아이폰 RAW파일이 합성 됐거나 품질이 안좋은 적은 한번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런 말씀을 하시는게 이해 되지 않습니다. 소니 알파6600미러리스도 사용하면서비교해도 아이폰 raw 이미지가 포토샵으로 열었을때 더 좋거든요. 제가 포토샵으로 현상한 이미지도 보내드릴 수 있습니다!!
25.09.25. 12:07

ccm
아이폰 RAW 결과물이 보기 좋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제 경험에서 그렇게 느껴지는 이유는, 기준이 없기 때문 입니다.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가 없기 때문 입니다.
핵심은 결과물의 주관적 품질이 아니라 촬영 파이프라인과 데이터 순수성의 차이, 데이터 성격 입니다.
말씀하신 내용들로 볼때, ccm님께서는 촬영 품질을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고, 현상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표준 테이블이 없습니다.
호기심과 질문은 언제나 좋은 것입니다. 새로운 시각을 만들고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원하신다면 원격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함께 열어보고, 촬영 과정과 결과물의 차이를 직접 확인하며, 왜 부족하다 안된다고 말하는지, 궁금하신 부분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렇게 해야 개념적인 이해뿐 아니라 실제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차이까지 명확해질 것입니다.
sotheb@지메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가 없기 때문 입니다.
핵심은 결과물의 주관적 품질이 아니라 촬영 파이프라인과 데이터 순수성의 차이, 데이터 성격 입니다.
말씀하신 내용들로 볼때, ccm님께서는 촬영 품질을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고, 현상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표준 테이블이 없습니다.
호기심과 질문은 언제나 좋은 것입니다. 새로운 시각을 만들고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원하신다면 원격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함께 열어보고, 촬영 과정과 결과물의 차이를 직접 확인하며, 왜 부족하다 안된다고 말하는지, 궁금하신 부분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그렇게 해야 개념적인 이해뿐 아니라 실제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차이까지 명확해질 것입니다.
sotheb@지메일
25.09.25. 15:47
CCM
어제 급하게 종료해서 인사도 못드려서 댓글 남깁니다. 말씀해 주신 내용 명심하고 올해 안에 촬영 셋트 꼭 구매해서 연락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9.26. 10:38
지나다가
이번에 새로나온 아이폰17프로맥스는 광학줌이라 4800백만 화소에 화질 더 좋아졌어요
25.09.26. 17:41

지나다가
잘못된 정보 입니다. 매뉴얼을 정확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아이폰17 시리즈는 풀 해상도 48MP 센서를 내장하고 있지만 모든 촬영이 48MP로 촬영되지 않습니다.
또한 아이폰은 광학 줌이 아닙니다. 여러 사진을 합성하거나 하는 소프트웨어 처리 됩니다.
아이폰17 시리즈에 내장된 48MP 센서는 Fusion resolution 입니다. 촬영 모드, 픽셀비닝, 조도, 노이즈 등에 따라 자동으로 크롭된 해상도로 저장 됩니다.
촬영 환경에서 48MP 해상도를 무조건 유지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가 수동제어 할 수 없다는 의미 입니다.
아이폰17 시리즈는 풀 해상도 48MP 센서를 내장하고 있지만 모든 촬영이 48MP로 촬영되지 않습니다.
또한 아이폰은 광학 줌이 아닙니다. 여러 사진을 합성하거나 하는 소프트웨어 처리 됩니다.
아이폰17 시리즈에 내장된 48MP 센서는 Fusion resolution 입니다. 촬영 모드, 픽셀비닝, 조도, 노이즈 등에 따라 자동으로 크롭된 해상도로 저장 됩니다.
촬영 환경에서 48MP 해상도를 무조건 유지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가 수동제어 할 수 없다는 의미 입니다.
25.09.26.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