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 갤러리에서 프로젝터로 영상 재생을 할때 usb 영상 인식 문제
상황.
갤러리나 미술관에서 영상 재상을 위해 USB에 저장해온 영상 파일을 프로젝터에 연결해 재행 하려고 시도 했지만, 프로젝터에서 usb는 인식 하면서, usb 에 저장된 내 영상 파일을 인식하지 못함.
이 문제는 생각보다 자주 발생하는 문제로, 근본적인 원인은 갤러리나 미술관에서 사용중인 프로젝터 사양을 관리할 주체가 없는 것에서 발생합니다.
프로젝터는 모델에 따라 지원하는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형식에 제한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범용적인 MP4 (H.264 코덱)은 대다수 프로젝터들이 지원 하지만, 그외 컨테이너나 코덱은 프로젝터 모델에 따라 지원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영상을 만드는 주체인 작가들의 경우 영상 제작 최종 내보내기 단계에서 확인해야 하는 영상 파일 형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파일 형식
영상 파일은 재생 하려는 환경에 맞게, 컨테이너, 코덱, 해상도, 비트레이트 등의 메뉴얼을 지켜야 합니다.
컨테이너
흔히 파일 포맷으로 알고 있는 MP4, AVI 등이 컨테이너 포맷 입니다.
컨테이너는 비디오, 오디오, 자막, 메타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통합해 담는 그릇 역할을 합니다.
컨테이너에 담긴 데이터는 별도 코덱으로 인코딩 됩니다.
코덱
코덱은 데이터를 압축 하거나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 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압축하는 것을 인코딩이라 하고, 해제 하는 것을디코딩 이라 합니다.
프로젝터에서 영상 재생을 할때
프로젝터는 MP4 컨테이너에 담긴 비디오, 오디오 정보를 추출 합니다. 이때 압축된 비디오와 오디오를 압축 해제 하고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 합니다.
갤러리나 미술관 프로젝터에서 영상 재생을 할때 영상 파일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는 영상 파일 용량이 크기 때문이 아닙니다.
프로젝터 모델을 검색해서, 사용 하려는 프로젝터가 어떤 포맷을 지원 하는지, 어떤 해상도를 갖고 있는지 확인 후 영상을 프로젝터에 맞게 인코딩 해야 합니다.
미술관, 갤러리 큐레이터나 학예사에게 영상 재생 문제를 문의 해도 그분들은 프로젝터 관리 주체가 아니라 해당 문제를 해결하지 못합니다.
영상을 재작하기 전에 사용하려는 프로젝터 모델을 확인하고, 해당 프로젝터에서 지원하는 컨테이너=포맷, 과 코덱, 영상 사이즈를 확인하고, 그에 맞게 영상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